2022 국가공무원 7급 공채 PSAT 자료해석 22~23번 풀이
표 1, 3, 4는 2018~2020의 3개년의 수치이고, 표2는 2020년만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파악하고 문제를 보자.
22번. 옳은 것만을 고르라고 한다.
ㄱ. 방위산업의 국내 매출액이 가장 큰 연도에 방위산업 총매출액 중 국외 매출액 비중이 가장 작다.
표1을 보자. 국내 매출액의 괄호를 채우자.
6자리를 다 알 필요는 없으므로
2018 116,502 / 2019 ( 123,--- ) / 2020 ( 136,--- )
정도로만 기재하면 충분하다.
전체 표에서 나타내는 기간은 2018~2020의 3개년뿐이므로 개중에서 제일 매출액이 큰 연도를 보면 된다.
국내매출액이 가장 큰 해는 2020년이다.
그럼 2020년의 총매출액 중 국외매출액 비중이 2019, 2018과 비교해서 가장 작은지를 보면 된다.
이것도 수 전체를 볼 필요는 없고 앞자리만 보자.
2020년은 153,--- 중의 17,---이다.
2019년은 144,--- 중의 21,---이다.
모수(총매출액)은 2019년이 더 적은데 국외매출액은 더 많으므로 비중은 2019>2020이다.
그럼 2018도 보자. 136,--- 중의 19,---이다.
마찬가지로 모수인 총매출액은 2020과 비교하면 더 작은데, 국외매출액은 더 많으므로 비중은 2018>2020이다.
3개년중에 2020년이 가장 작다. ㄱ은 맞는 보기이다.
ㄴ. 기타를 제외하고 2018년 대비 2020년 매출액 증가율이 가장 낮은 방위산업 분야는 탄약이다.
표3을 보자.
2019년은 볼 필요 없고 2018 vs 2020만 붙이면 된다.
하나씩 앞자리만 보자.
항공유도 41. > 49. 이므로 8이 늘었다 치면 대략 20% 늘었다.
탄약 24.7 > 25.3 이므로 0.6 늘었다 치면 2.5% 정도 상승이다. 적긴 적다.
앞자리만 대강 봤을 때 10% 정도만 늘었다 싶은 것들은 다 쳐내도 무방겠다.
요구하는 것은 매출액 '증가율'임을 잊지 말자.
화력. 20.1 > 21.0 이면 대충 1.0 늘었다고 보고 그럼 5%니까 탄약보단 많겠다.
함정. 18.8 > 20.6 이면 대충 2.0 언저리니까 10% 근방이다. 탄약보단 많겠다.
기동. 14.0 > 18.2 딱 봐도 탄약보다 많다.
통신전자. 14.8 > 16.8 이면 2.0 증가니까 1/7정도 늘어난거니 탄약보다 많다.
화생방. 726 > 749이면 23 늘어났으니까 7x3=21, 3%보다는 더 늘었다.
탄약이 꼴찌네. ㄴ은 맞는 보기이다.
아무 생각없이 기타 포함하지 말자. 이 표에서는 어차피 기타도 크게 늘어서 기타 포함해도 탄약이 꼴찌인 건 맞지만 함정 파려면 기타의 숫자를 조정할 수도 있다.
ㄷ. 2020년 방위산업의 기업유형별 종사자당 국외 매출액은 대기업이 중소기업의 4배 이상이다.
표2를 보자.
요구하는 것은 '종사자당 국외 매출액'이다.
대기업은 27,249명이 종사해서 국외 매출액 16,612억원을 올렸다.
중소기업은 5,855명이 종사해서 국외 매출액 1,012억원을 올렸다.
대기업은 1인당 0.6억 언저리고
중소기업은 1인당 0.2억 조금 안되겠다.
계산이 빠르면 더 구체적으로 계산해도 되고, 문제를 빨리 푸는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면 + 그리고 문제 푸는 속도가 느리다면 이정도로 퉁치고 넘어가는게 낫다.
저 값에서 대기업이 중소기업의 4배까지는 안되므로 ㄷ은 틀린 보기이다.
ㄹ. 2020년 항공유도 분야 대기업 국내 매출액은 14,500억 원 이상이다.
이건 개인적으로 공식 풀이가 뭔지 모르겠다...
표의 수치를 대충 훑고나서 이 보기를 보면 이건 맞는 보기겠거니 하는 감이 오면 제일 좋고.
2020년 중소기업 총매출액은 17,669이다.
2020년 항공유도 분야 매출액은 49,024이다.
항공유도 매출액에서 중소기업 '총'매출액을 싹 빼도 30,000 이상이다.
중소기업의 모든 매출액이 항공유도에서 나왔다고 해도 대기업은 항공유도 분야에서 30,0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올렸다는 것이다.
그러니 이건 틀릴 수가 없는 보기이다.
ㄱ, ㄴ, ㄹ이 맞으므로 답은 5번.
문제 23번. 표4에서 항공유도가 뭔지를 고르면 된다.
첫 문단은 총 종사자 얘기니까 중요하지 않다.
이 문장의 경우 '2018년 대비 2020년'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2019년 값은 없어도 된다.
우리가 찾아야 하는 항공유도 분야는 종사자가 증가했다. 종사자가 감소한 B, E는 제낀다.
이 문장은 2018~2020년 동안이라고 했으므로 2019년 포함 3개년을 다봐야 한다.
매출액과 종사자 수가 모두 증가한 분야는 통신전자 뿐이다.
매출액을 보기 위한 표3과 종사자 수를 보기 위한 표4를 모두 체크해야 하지만
실전에서는 - 이 문제의 경우 A, C, D 중에 표4만 봐도 3개년동안 종사자 수가 계속 증가한게 D 하나 뿐이므로 통신전자가 D임을 알고 바로 넘어가야 한다.
이 글은 문제풀이 설명이므로 표3에서 매출액도 같이 체크하자면
매출액이 3개년 내내 상승한 것은 항공유도, 통신전자 2분야가 되겠다.
여튼 D가 통신전자이므로 A vs C만 남는다.
분야 중에서는 통신전자 vs 함정이다.
말이 엄청 많긴 한데 '2018년 대비 2020년 함정 분야 ~~ 종사자 수는 방위산업 분야 중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이거 하나만 체크하면 끝나는 게임이다. 어차피 A와 C만 남았으므로 A와 C중에 종사자 수가 더 많이 증가한 쪽을 보면 된다. 종사자 비율이 아니고 종사자 '수'이다.
2018년 대비 2020년이므로 2020년 종사자 수 - 2018년 종사자 수 하면 된다.
A는 10108 - 9651 = 457
C는 4523 - 3996 = 527
C가 더 많이 늘었으므로 C가 함정이 된다. 남은 A가 항공유도이다. 답은 1번.
검증을 해보고 싶으면 종사자당 매출액 순위가 2018년에 2위 함정, 3위 항공유도, 2020년에 3위 항공유도가 맞는지를 계산해보면 되는데 그것까지 할 필요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