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국가공무원 7급 공채

자료해석 20번

hangin 2022. 10. 18. 22:01

2022 국가공무원 7급 공채 PSAT 자료해석 20번 풀이

 

노가다성 문제인데 숫자는 많고,
후반 문제니 집중력은 떨어지고,
시간단위니까 60이 되면 윗 단위로 올려줘야 한다는 것 때문에 헷갈리고 등등 해서 쉽게는 느껴지기 어려운 문제다.

일단 표의 괄호부터 채워보자.
뚫어놓은 괄호의 값이 없어도 문제가 풀린다면 다 뚫었겠는가?
다 채우자.

그리고 보기로 가자.

 

ㄱ. 수영기록이 한 시간 이하인 선수는 T2기록이 모두 3분 미만이다.

수영기록이 한 시간 미만인 선수들은 러시아, 브라질, 일본의 3명이다.

세 명의 T2는 모두 3분 미만이다. 맞는 보기이다.

 

ㄴ. 종합기록 순위 2~10위인 선수 중, 종합기록 순위가 한 단계 더 높은 선수와의 종합기록 차이가 1분 미만인 선수는 3명뿐이다.

종합기록만 보면 된다.
하나씩 계산을 하자. 계산을 하되, 한 단계 높은 선수와의 차이가 분에서 2분 이상 차이가 나면 볼 것도 없으므로 제낀다.

1분 미만 즉 0:xx로 나온 경우는 6위, 7위, 10위의 3명이다.

ㄴ은 맞는 보기이다.

 

ㄷ. 달리기 기록 상위 3명의 국적은 모두 대한민국이다.

박스로 표기한 세 숫자가 가장 작다 = 가장 높은 달리기 기록 3개이다.
6위는 일본국적이므로 ㄷ은 틀린 보기이다.

 

ㄹ. 종합기록 순위 10위인 선수의 수영기록 순위는 수영기록과 T1기록의 합산기록 순위와 다르다.

수영 칸 옆의 순위가 수영만 본 순위,
T1 칸 옆의 순위가 수영+T1을 더한 순위이다.

이건 해석 블로그니까 다 구한거지 10위가 수영만 쟀을 때 4위라는 것을 확인했으면
바로 T1까지 더한 순위로 넘어가도 무방하다. 4위가 맞냐 아니냐만 보면 되니까.

T1의 시간차는 매우 미미하기 때문에 전체가 수영의 순위 = 수영+T1순위이다.

ㄹ은 틀린 보기이다.

 

ㄱ,ㄴ만 맞으므로 답은 1번.

'2022 국가공무원 7급 공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해석 22~23번  (0) 2022.10.25
자료해석 21번  (0) 2022.10.19
자료해석 19번  (0) 2022.10.13
자료해석 18번  (0) 2022.10.12
자료해석 17번  (0) 2022.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