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국가공무원 7급 공채 PSAT 자료해석 19번 풀이
저 그림을 보면 왠지 줄이 긋고 싶어지지 않는가?
그어보자.
선 위에 있는 것은 조기뿐이다.
일단 여기까지 보고 보기로 넘어가자.
ㄱ. 8개 어종 중 2019년 어획량이 가장 많은 어종은 고등어이다.
표와 그림은 2020년 기준이고, 보기에서 물어본 것은 2019년 어획량이다.
표에서는 2020년 어획량을, 그림에서는 전년비를 제시하고 있으므로
2020년 어획량에 전년비를 역산하면 2019년 어획량이 나올 것이다.
유력한 우승후보는 2020년에 독보적인 어획량을 보인 고등어이다. 2위인 멸치의 두 배 이상이다.
그리고 어획량이 택도 없는 것들은 뺀다. 광어, 참다랑어는 제낀다.
고등어의 전년비를 보자. 80%에서 조금 모자란다. 64609에서 80%라 치면 전년 어획량은 5만정도 되겠다.
그럼 2~3위인 멸치나 조기, 오징어 중에 전년비가 200% 정도 올랐으면 비벼볼 만 하다.
근데 전년비가 가장 큰건 전갱이인데 전갱이도 170% 정도이니 탈락.
조기, 갈치, 멸치도 200% 튀겨야 고등어에게 이길까말까인데 전년비가 150%도 안된다.
어떤 해물도 고등어를 이기지 못했다. 2년 연속 왕좌는 고등어의 것이다. ㄱ은 맞는 보기이다.
ㄴ. 8개 어종 각각의 2019년 어획량은 해당 어종의 2011~2020년 연도별 어획량의 평균보다 적다.
2011~2020년 연도별 어획량의 평균이 그림2에서 보여주는 평년비가 된다.
평년비 수치가 100이면 10년간 어획량의 평균과 그 해의 어획량이 같은 것이다.
지문에서 물어보는 것은 2019년이므로
광어는 전년비 대략 40%, 평년비 대략 20%이다.
전년에 어획한 것도 평년비의 50%도 못따라간다.
고등어는 전년비 80%, 평년비 70%라고 보자.
전년비 전년비보다 평년비가 적으므로 전년에도 평년비 100%만큼을 어획하지 못했다.
멸치는 전년비 140%, 평년비 100%이다.
올해에 어획량이 늘었는데 평년비가 100%에 가까우니
전년에는 평년보다 덜 어획했다는 소리다.
전갱이는 전년비가 170% 정도 되지만 평년비는 110%정도에 불과하다.
전년에 평년 대비 크게 떨어지게 어획했다는 뜻이다.
조기는 전년비는 160%보다 모자라는데 평년비는 160%를 넘는다.
전년에 평년비 100%보다 더 어획했기 때문에 전년비<평년비인 것이다.
이쯤되면 뭔가 감이 오시는가?
대각선으로 찍 그은 선의
- 위에 있으면 전년어획량이 평균보다 큰 거고
- 아래에 있으면 전년어획량이 평균보다 작은 것이다.
저 선이 전년어획량=평균어획량 100%가 되는 경계이기 때문이다.
전년비가 20%, 평년비가 20%이라면 전년어획량은 올해의 100%, 평년비도 100%이 된다.
그 위에 조기가 있으므로 ㄴ은 틀린 보기가 되는 것이다.
나는 현장에서 보기까지 내려가기 전에
저 그림을 보자마자 대각선으로 그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긋고 시작했다.
그게 문제를 많이 봤기 때문에(PSAT은 시행한지 얼마 안됐지만 취준할때 SSAT 등 인적성 풀던 가락이 있어서)
가능한 것이다.
대충 이렇게 저렇게 해야겠다는 느낌이 드는 거다.
때문에 PSAT은 어차피 만점 맞아야 통과하는 시험이 아니므로 정 나한테 안맞는 유형은 버리고 그 외의 것들을 다양하게 풀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ㄷ. 2021년 갈치 어획량이 2020년과 동일하다면, 갈치의 2011~2021년 연도별 어획량의 평균은 2011~2020년 연도별 어획량의 평균보다 크다.
쉽게 다시 정리하자면
1) 2021년 갈치의 전년비가 100%라면 (= 2020년과 동일한 양을 어획했다면)
2) 2011~2021 평균 어획량 > 2011~2020 평균 어획량이 된다.
평균이 커지려면 어떻게 하면 된다? 평균보다 더 큰 값을 집어넣으면 된다.
그럼 2021 갈치 어획량이 2011~2020 평균보다 커야 한다.
근데 2021 갈치어획량 = 2020 어획량이라고 했다.
그럼 이미 2020 어획량이 2011~2020 평균보다 커야 한다.
그 소리는 갈치의 평년비가 100 이상이어야 된다는 말이다.
그림을 보자. 갈치는 세로축인 평년비가 100인 선보다 한참 위에 있다.
그러니 ㄷ은 맞는 보기이다.
ㄱ,ㄷ이 맞으므로 답은 3번.
풀이과정을 다 읽고 나면 막상 어려운 문제는 아닌데, 후반 문제라 집중력 떨어지면 보기 읽다가 어획량탈트 or 생선탈트가 올 수도 있는 문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