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국가공무원 7급 공채 PSAT 상황판단 21번 풀이
시간과 계산이 제법 걸리는 문제다.
그보다 중요한 건 봐야 할 정보와 불필요한 정보를 솎아낼 수 있어야 하는 부분이다.
문제에서
- 매 해 인력증원을 요청한다.
- 요청 인원수 = 다음 해 예상 검사 건수를 모두 검사하는 데 필요한 최소 직원 수 - 올해 직원 수
기준 검사 건수는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 국장은 100% 차감 (검사 안한단 소리)
- 사무 처리 직원은 100% 차감 (얘네도 검사 안한단 소리)
- 국장/사무처리직원 외의 모든 직원은 교육이수때문에 10%차감
- 과장은 50% 추가 차감 (관리자라 서류작업 해야하니 또 빼준단 소리)
정리하면,
국장과 사무처리직원 > 검사 캐파에서 아예 빠진다.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인원이다.
과장 > 10%차감에 50%추가 차감이므로 40% 검사 가능
그 외의 직원 > 10%만 차감. 90% 검사 가능
굵게 표기한 부분만 알면 되는 내용이다.
상황으로 내려가자.
- 올해 A 검사국에는 국장 1명, 과장 9명, 사무처리직원 10명을 포함하여 총 100명의 직원이 있다.
> 올해 인원 : 국장1 과장9 사무10 총100 > 기타는 80명임을 알 수 있다.
- 내년에도 국장, 과장, 사무처리직원의 수는 올해와 동일하다.
> 내년 인원 : 국장1 과장9 사무10 + 기타만 추가요청하면 된다.
- 올해 '기준 검사 건수'는 100건이나, 내년부터는 검사 품질 향상을 위해 90건으로 하향 조정한다.
> 올해 기준 검사 건수는 100건
일이 너무 많아요 빼액 해서 내년 기준건수는 90건으로 내리기로 했다.
- A 검사국의 올해 검사 건수는 현 직원 모두가 한 해 동안 수행할 수 있는 최대 검사 건수와 같다.
> 올해 풀 캐파로 돌렸다는 얘기다. 국장 40% 기타 90%를 다 쓴 값이 올해 검사 건수였다.
- 내년 A 검사국의 예상 검사 건수는 올해 검사 건수의 120%이다.
> 올해 풀캐파 건수를 구해서 x 120%하면 내년 건수가 나온다.
거기서 인원수가 고정된 국장의 내년 캐파를 빼고 기타의 인당 캐파로 나누면 내년 기타인원의 수가 나올 것이다.
올해 검사 건수를 구하자.
국장과 사무직원은 아예 언급할 필요가 없다.
과장9 x 기준 100건에 x 캐파 40% = 360건
기타80 x 기준 100건에 x 캐파 90% = 7200건
올해 총 검사 건수는 둘을 합한 7560건이다.
내년 예상 검사 건수는 7560건 x 120% = 9072건이다.
내년은 기준건수가 90건으로 줄어든다.
과장9 x 기준 90건 x 40% = 324건
기타? x 기준 90건 x 90% = ? x 81건
의 합이 9072건이라는 의미이다.
9072-324=8748건만을 기타 직원들이 처리하게 되며,
이를 위해 8748÷81=107.9명이 필요하다.
작년에 기타 직원은 80명이었으므로 +28명의 증원을 요청하면 된다.
이 문제는 보기가 ④21명, ⑤28명이므로 고민없이 5번이 답이 되는데
27, 28명이 각각 답지에 있는 경우는
원하는 것이 검사건수를 감당할 인원이므로 나온 값보다 적어서는 안된다, 즉 올림을 해야한다는 것을 생각하면 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