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국가공무원 7급 공채 52

자료해석 12번

2022 국가공무원 7급 공채 PSAT 자료해석 12번 풀이 A, B, C, D가 어떤 항목에 매칭되는지를 고르면 되는 문제이다. 표가 여러줄인데 저 중에 실제로 사용할 내용은 얼마 없다. 이렇게 세 줄만이 멸종우려종에 해당된다. 여기까지 파악했으면 보고서 2~3문단에서 힌트를 찾아보자. - 멸종우려종 중 고래류가 차지하는 비중은 80% 이상이다. 80% 이상이면 압도적인 숫자이므로 대충 봤을 때 숫자가 제일 큰게 고래류이다. D가 고래류가 되겠다. - 해달류 및 북극곰은 9개 지표 중 멸종우려종 또는 관심필요종(LC)으로만 분류된 것으로 나타났다. 멸종우려종은 위의 세 줄 전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중간줄의 멸종위기종(EN)하고 단어가 비슷해서 헷갈리니까 주의하자. 여튼 저 문장이 의미하는 것은 1) 멸..

자료해석 11번

2022 국가공무원 7급 공채 PSAT 자료해석 11번 풀이 일단 괄호를 채워보자. 전년이월 + 해당 연도 접수 = 심판대상이니까. 이렇게 된다. ㄱ. 심판대상 중 전년 이월의 비중은 2018년이 2016년보다 높다. 2016년 : 322 중에 96 2018년 : 258 중에 90이다. 암산이 빠른 분은 계산하셔도 되고, 이 경우는 숫자가 쉽다. 90>96의 증가는 10% 미만인데 258>322의 증가는 20% 이상이므로 모수가 큰 2016년이 비중이 더 낮을 거라고 대충 때려맞춰도 된다. ㄱ은 맞는 보기이다. ㄴ. 다음 연도로 이월되는 건수가 가장 많은 연도는 2016년이다. 표 밑에 당구장표시..요즘 애들도 이 말 아나..※이거에 써진 문장을 보면 심판대상 중 재결되지 않은 건은 다음 연도로 이월한다..

자료해석 10번

2022 국가공무원 7급 공채 PSAT 자료해석 10번 풀이 '보고서' 부분에 있는 모든 수치가 각각 어느 표에서 나왔는지를 체크하자. 문제를 풀 때에 펜을 꼭 들고 하나씩 표시를 해가면서 보자. (지문의 표1, 표2에만 있는 것이 핑크색이다.) 오후돌봄교실 245,303명 저녁돌봄교실 10,238명 > 지문의 표1에 있다. 맞벌이 가정이 71.1% 저소득층 가정이 9.4% > 지문의 표2이 있다. (보기에만 있는 것은 파란색이다.) 98.9%가 참여 > 보기의 ㄱ에 있다. 19시를 넘는 시간까지 이용하는 학생은 11.2%에 불과하다. > 보기 ㄴ표의 17~20시의 9.8%와 17~21시의 1.4%를 더하면 11.2%가 된다. 담당인력 구성은 돌봄전담사가 10,237명..후략 > 전부 보기 ㄹ에서 확인할..

자료해석 9번

2022 국가공무원 7급 공채 PSAT 자료해석 9번 풀이 빈집의 비율과 빈집의 수를 잘 구분해야 한다. A에서 들어갈 것은 2020년에 전년대비 빈집 수가 증가한 지역의 갯수이다. 이런 식으로 빈집 수 외의 열은 양쪽은 펜이나 손으로 가리든가 해서 봐야 할 숫자만 남겨놓아야 헷갈리지 않는다. 좌측(2019년)의 빈집 수보다 우측(2020년)의 빈집 수가 늘어난 지역은 표기한 6개 지역이다. A에 들어갈 값은 6이다. B에 들어갈 것은 전년 대비 빈집비율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지역이다. 서울 3.2>3.2 (-) 부산 8.8>8.9 (+0.1) 광주 7.5>7.7 (+0.2) 전북 12.6>12.9 (+0.3) 전남 15.5>15.2 (-0.3) 경남 11.6>11.6 (-) 따라서 전라북도가 답이 ..

자료해석 8번

2022 국가공무원 7급 공채 PSAT 자료해석 8번 풀이 ㄱ. 2017~2021년 동안의 특허 출원건수 합이 가장 작은 사료 유형은 미생물효소이다. 출원건수 총합이므로 산수를 빨리 하면 되는 문제다. 같은 색깔의 작대기 각 5개씩 숫자를 더하면 되는데, '가장 작은' 걸 구하라고 했으므로 대충 봐도 제일 많은 식물기원은 빼고 나머지 두개만 하자. 동물기원 4 2 11 10 15 = 42 미생물효소 1 5 9 8 17 = 40 미생물효소가 제일 적으므로 ㄱ은 맞는 보기이다. ㄴ. 연도별 전체 특허 출원건수 대비 각 사료 유형의 특허 출원건수 비율은 식물기원이 매년 가장 높다. 한 해에 어떤 유형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지 봐서 모든 해에 식물기원이 비율이 가장 높으면 맞는 보기이고, 아니면 ..

자료해석 7번

2022 국가공무원 7급 공채 PSAT 자료해석 7번 풀이 후다닥 풀 수 있는 문제이다. 표2의 등급별 배점을 표1에 해당하는 부분에 옮겨 적고, 각 지역의 합까지 구하자. 이건 귀찮아서 그림판으로 그렸다. 여기까지 했으면 보기로 가자. ㄱ. 재해발생위험도 점수가 높은 지역일수록 우선순위가 높다. 재해발생위험도 점수는 갑 17 을 25 병 10으로 을>갑>병 순이고, 우선순위 즉 각 숫자의 합계도 을39>갑38>병32 순으로 동일하다. ㄱ은 맞는 보기이다. ㄴ.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지역과 가장 낮은 지역의 피해액 점수 차이는 재해발생위험도 점수 차이보다 크다.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지역은 을, 가장 낮은 지역은 병이다. 피해액 점수 차이는 을 6 병 12로 6점 차이, 재해발생위험도는 을 25 병 10..

자료해석 6번

2022 국가공무원 7급 공채 PSAT 자료해석 6번 풀이 이렇게 풀라고 남에게 권장할 만 한지 자신은 없는데 어쨌든 나는 현장에서 풀어서 맞힌 문제이다. 중요한 것은 '계산에 필요한 숫자가 나왔다고 다짜고짜 계산하지 말라'가 되겠다. ㄱ. A지역의 3등급 쌀 가공비용은 B지역의 2등급 현미 가공비용보다 크다. 핑크색으로 체크한 부분을 보자. A지역의 3등급 쌀 가공비용 = 표1의 3등급 쌀 가공단가 100 x 표2의 A지역 3등급 쌀 가공량 25 나오는 숫자는 100 x 25이다. B지역의 2등급 현미 가공비용 = 표1의 2등급 현미 가공단가 97 x 표2의 B지역 2등급 현미 가공량 25 나오는 숫자는 97 x 25이다. 계산할 필요 없이 저 상태에서 비교하면 된다. A지역의 숫자가 더 크므로 ㄱ은 ..

자료해석 5번

2022 국가공무원 7급 공채 PSAT 자료해석 5번 풀이 보고서 부분에 나오는 특징이 총 4가지이므로 A~E 5개 도시 중에 한 특징당 한 도시씩 걸러지겠거니 하는 예상을 할 수 있다. 첫째, 1990년대 이후 모든 시기에서 자본금액 1천만 원 미만 창업 건수가 자본금액 1천만 원 이상 창업 건수보다 많다. 한 시대에서 천만원 미만 > 천만원 이상이 아닌 부분이 있는지만 보면 된다. 이 부분이 된다. C는 정답에서 제거된다. 둘째, 자본금액 1천만 원 미만 창업 건수와 1천만 원 이상 창업 건수의 차이는 2010년대가 2020년대의 2배 이상이다. 내가 이미지에서 C열을 아예 지워버렸듯이 실제 시험장에서도 쭉 그어버리든가 하자. 불필요한 숫자가 눈에 들어오면 헷갈리니까. E는 25-0 vs 53-3 >..

자료해석 4번

2022 국가공무원 7급 공채 PSAT 자료해석 4번 풀이 쉬운 문제지만 원의 갯수를 세다가 눈이 빙글빙글하다 아차 할 수 있다. 집중력 싸움이다. ㄱ. 24~26차 회의의 심의안건에 모두 동의한 위원은 6명이다. : 한 줄씩 보면서 3회가 모두 동의에만 표기되어있는 케이스를 고르면 된다. 기획재정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문화재청장의 6명이므로 맞다. ㄴ. 심의안건에 부동의한 위원 수는 매 회차 증가하였다. 헷갈리니까 이런 식으로 양쪽을 손으로 가리고 원의 갯수를 보자. 5>6>4로 26회차에서는 전회차대비 감소하였기 때문에 틀린 보기이다. ㄷ. 전체 위원의 2/3 이상이 동의해야 심의안건이 의결된다면, 24~26차 회의의 심의안건은 모두 의결되었다. 1) 전체 위원은 16..

자료해석 3번

2022 국가공무원 7급 공채 PSAT 자료해석 3번 풀이 어렵지는 않은데 보기의 자료의 형태가 다 다르기 때문에 빠르게 내용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1번 보기의 생활밀접업종 사업자 수 그래프가 참조된 부분은 보고서 지문에 1번으로 표기한 부분의 2021년 현재 2,215천명으로 2018년 대비 10% 이상 증가하였다 는 부분이다. 그래프에도 2021년의 수가 2,215명이고, 2018년의 1,989대비 10%이상 크다는 점은 계산하지 않아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지문과 어긋나는 부분이 없으므로 맞는 보기이다. 2번 보기의 그래프는 보고서에 2번으로 표기한 부분이다. 보고서 내에서는 생활밀접업종 73개 업종이라고 언급했지만 73이라는 숫자는 의미가 없고 그래프는 어차피 상위 10개 업종만 보여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