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국가공무원 7급 공채 PSAT 자료해석 3번 풀이

어렵지는 않은데 보기의 자료의 형태가 다 다르기 때문에 빠르게 내용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1번 보기의 생활밀접업종 사업자 수 그래프가 참조된 부분은 보고서 지문에 1번으로 표기한 부분의
2021년 현재 2,215천명으로
2018년 대비 10% 이상 증가하였다
는 부분이다.
그래프에도 2021년의 수가 2,215명이고,
2018년의 1,989대비 10%이상 크다는 점은 계산하지 않아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지문과 어긋나는 부분이 없으므로 맞는 보기이다.
2번 보기의 그래프는 보고서에 2번으로 표기한 부분이다.
보고서 내에서는 생활밀접업종 73개 업종이라고 언급했지만 73이라는 숫자는 의미가 없고
그래프는 어차피 상위 10개 업종만 보여주고 있으므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것이 스포츠시설운영업 > 펜션/게스트하우스 > 애완용품점 순이라는 내용에 부합하는지만 보면 된다.
2018년 대비 2021년이라는 기간도 꼼꼼하게 봐야 하긴 하지만 보통 이렇게 어이없는 부분에서 꼬아서 내지는 않아서..
3번 보기의 표는 지문에서
산부인과 병의원 사업자 수는 2018년 이후 매년 감소하였다.
부분과 일치하는지 보면 된다.
표에서도 2018년부터 2021년까지 꾸준히 수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4번 보기의 그래프는 지문에서
2018년 이후 예식장과 결혼상담소의 사업자 수도 각각 매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분에 해당되는데, 예식장이 2019년에 전년도보다 증가한 부분이 있으므로 매년 감소하지 않았다.
문제에서 부합하지 않는 자료를 요구했으므로 답은 4번이다.
5번 보기의 그래프도 마저 보자.
생활밀접업종을 7개 그룹으로 분류했을 때 (지엽적으로 꼬아서 내려는 문제면 이 그룹명이 다 일치하는지도 봐야한다)
전문직의 증가율이 17.6%인지,
해당 7개 그룹 중 가장 많은 수치인지를 보면 된다.
맞는 보기이다.
답은 4번.
이런건 집중력있게 빨리 보고 넘기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라도 중간 쉬는 시간에는 밖에 나가서 맑은 공기 충분히 마시고 오는 것이 좋다.